여행기간
당일지역
충북최소출발인원
25명트래킹난이도
하(중)교통편
45인승 대형버스적립포인트
500P (예약인원 수 만큼 적립)![]() |
왕복교통비, 아침떡, 중식, 안내비 |
---|---|
![]() |
여행자보험, 기타개인경비 등 |
![]() |
등산화, 스틱, 간식, 생수 등 |
허영만 백반기행 중에서
장작불에 옛 방식대로 삶는 시래기, 쌀뜨물에 멸치 좀 넣고 푹 끓이면
시골밥상 완성 !
마고정식
수육+묵전+생선구이+게장무침
![]() |
![]() |
광화문역 1번 출구 앞 (세종 문화회관 뒤) |
---|---|---|
![]() |
![]() |
양재역 1번 출구 앞 50미터 직진 수협은행 앞 경유 |
![]() |
![]() |
죽전간이버스정류장(부산방면) 신갈간이버스정류장 |
![]() |
![]() |
봉곡사 천년숲 산책 -코스: 봉곡사 주차장-송남휴게소-긴골산입구-배골마을-오돌개마을 -거리: 8.6㎞, 소요시간: 3시간 -트레킹난이도: 하(중) 아산 봉곡사
울창한 송림으로 에워싸인 진입로와 배산이 청정도장의 면모를 돋보이게 한다. 조선시대의 승람과 지리지에는 "석암사"라 했으며 1929년 환여승람에 "봉곡사"라 한 것으로 보아 사명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. 사찰입구 안내판에 신라51대 진성여왕 원년(887년) 2월에 도선국사가 창건하고 고려 18대 의종(1170년)때에 보조국사가 중창했으며 세종조(1419년)에 함허대사가 삼창하였는데, 이 때는 상암, 벽련암, 보명암, 태화암 등의 암자가 있었다. 임진왜란 때에 본전과 여섯 암자가 폐허된 것을 인조24년(1647년) 다시 중창하고 정조18년(1794년) 중수하여 봉곡사라 개칭했다.
|
![]() |
![]() |
점심식사[허영만 백반기행 따라가기] -마고정식: 수육+묵전+생선구이+게장무침 |
![]() |
![]() |
영인산 트래킹 및 일몰감상 -코스: 아산향교-시련과 영광의 탑-영인산(일몰감상)-세심원 -거리: 2.67km, 소요시간: 약 1시간30분(정상에서 일몰 감상 후 세심원으로 하산, 15분소요) *준비물: 랜턴(비상용) 아산 영인산
해발고도 363.5m의 산으로 북쪽에는 아산만방조제, 서쪽에는 삽교천방조제가 위치해 있다. 영험한 산으로 정상에는 우물이 있어서 큰 가뭄이 있을 시 기우제를 지내던 산이다. 그예로부터 산이 영험하다 하여 영인산이라 부르고 있다. 산 정상 일대에는 남북으로 펼쳐진 백제 초기의 석성으로 추정되는 영인산성이 있는데, 이는 백제가 서해와 통하는 아산 지역을 중요시한 것을 보여준다. 또한 정상에는 2마리의 학의 형상을 띤 듯한 두 개의 탑으로 구성된 ‘민족의 시련과 영광의 탑’이다. 이 탑은 민족의 역사 및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등산객의 휴식 공간을 마련해 세워진 것이다. 산 정상에서는 멀리 서해 바다와 평택, 삽교천 및 아산만 방조제와 아산의 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.
|
![]() |
![]() |
아산출발
|
![]() |
![]() |
양재역, 강남역, 신논현역, 논현역 도착예정
|
허영만 백반기행 중에서
장작불에 옛 방식대로 삶는 시래기, 쌀뜨물에 멸치 좀 넣고 푹 끓이면
시골밥상 완성 !
마고정식
수육+묵전+생선구이+게장무침
![]() |
![]() |
광화문역 1번 출구 앞 (세종 문화회관 뒤) |
---|---|---|
![]() |
![]() |
양재역 1번 출구 앞 50미터 직진 수협은행 앞 경유 |
![]() |
![]() |
죽전간이버스정류장(부산방면) 신갈간이버스정류장 |
![]() |
![]() |
봉곡사 천년숲 산책 -코스: 봉곡사 주차장-송남휴게소-긴골산입구-배골마을-오돌개마을 -거리: 8.6㎞, 소요시간: 3시간 -트레킹난이도: 하(중) 아산 봉곡사
울창한 송림으로 에워싸인 진입로와 배산이 청정도장의 면모를 돋보이게 한다. 조선시대의 승람과 지리지에는 "석암사"라 했으며 1929년 환여승람에 "봉곡사"라 한 것으로 보아 사명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. 사찰입구 안내판에 신라51대 진성여왕 원년(887년) 2월에 도선국사가 창건하고 고려 18대 의종(1170년)때에 보조국사가 중창했으며 세종조(1419년)에 함허대사가 삼창하였는데, 이 때는 상암, 벽련암, 보명암, 태화암 등의 암자가 있었다. 임진왜란 때에 본전과 여섯 암자가 폐허된 것을 인조24년(1647년) 다시 중창하고 정조18년(1794년) 중수하여 봉곡사라 개칭했다.
|
![]() |
![]() |
점심식사[허영만 백반기행 따라가기] -마고정식: 수육+묵전+생선구이+게장무침 |
![]() |
![]() |
영인산 트래킹 및 일몰감상 -코스: 아산향교-시련과 영광의 탑-영인산(일몰감상)-세심원 -거리: 2.67km, 소요시간: 약 1시간30분(정상에서 일몰 감상 후 세심원으로 하산, 15분소요) *준비물: 랜턴(비상용) 아산 영인산
해발고도 363.5m의 산으로 북쪽에는 아산만방조제, 서쪽에는 삽교천방조제가 위치해 있다. 영험한 산으로 정상에는 우물이 있어서 큰 가뭄이 있을 시 기우제를 지내던 산이다. 그예로부터 산이 영험하다 하여 영인산이라 부르고 있다. 산 정상 일대에는 남북으로 펼쳐진 백제 초기의 석성으로 추정되는 영인산성이 있는데, 이는 백제가 서해와 통하는 아산 지역을 중요시한 것을 보여준다. 또한 정상에는 2마리의 학의 형상을 띤 듯한 두 개의 탑으로 구성된 ‘민족의 시련과 영광의 탑’이다. 이 탑은 민족의 역사 및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등산객의 휴식 공간을 마련해 세워진 것이다. 산 정상에서는 멀리 서해 바다와 평택, 삽교천 및 아산만 방조제와 아산의 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.
|
![]() |
![]() |
아산출발
|
![]() |
![]() |
양재역, 강남역, 신논현역, 논현역 도착예정
|